차연적 놀이로 본 패션스타일의 가변성
국민대학교 | 257 pages| 2006.12.06| 파일형태 :
조회 1219 다운로드 0
자료요약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패션은 항상적 가치를 지닌 이전의 이미지를 기저에 두고 즉시적인 트렌드(trend)에 따라 변화한다. 지금까지의 패션스타일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특정한 스타일의 속성을 분석하거나 현상규명에 주력하였으며, 보편적으로, 패션에서 해체주의와 변화에 관한 연구들은 외형적 형태분석에 국한되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끊임없이 새로운 변화를 추구하는 패션스타일의 본질적인 가변성의 원리를 밝혀내고 이를 바탕으로 연구자의 작품논리를 정립하는데 있다. 논자는 본 이론을 규명하기 위해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의 `해체주의(Deconstruction)` 논리에 주목하였다. 데리다의 `해체`는 과연 외형적 형태의 해체만을 추구한 것일까? 그의 이론 내면에는 `차연(La difference)`의 논리가 있으며, 이 질료(substance)는 내적 형식(internal form)과 외적 형식(external form) 모두의 논의를 가능하게 한다. 패션에서 해체주의적 가변성은 무한한 미적 가치를 창출하는 질적 계기를 제공하며, 이것은 내적 형식의 외적인 형태의 재구성으로 표현된다. 상반되는 두 가지 논리(내면과 외형/항상성과 즉시성/항상적 차연적 이미지와 대리보충물)의 조화내지는 어울림은 예술창작의 기본덕목이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스타일의 가변성을 `차연적 이미지들의 놀이`로 해석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차연적 틈의 상태에서 변중법적 기호의 맥락으로서 `차연`과 상통하며, 패션스타일이 변화하는 속성으로 파악될 수 있다. 다의성을 내재한 데리다의 `대리보충(supplement)`이라는 계기는 이러한 맥락을 논의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적 계기이다. 곧, 가변적 패션스타일은 변중법적 기호의 맥락으로서 `차연` 그리고 차연적 매개체의 계기로서 `대리보충`에 의해 완성된다. 그러므로 패션스타일의 가변성에서 차연의 틈의 주인인 `대리보충`이 열쇠이고, 또한 가장 중요한 이론의 축이다.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는 다음과 같다.
차연과 대리보충 패션스타일의 가변성 차연적 놀이 이원론적 대리보충 놀이 차연적 이미지 흔적의 놀이
저작권 안내 및 사용범위와 규정
  •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 배포는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습니다.
  • 저작권 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하단의 “고객센터”를 이용해주세요.
  • 기타는 저작물의 등록자가 정하는 사용 범위와 규정에 준합니다.
  • 위 자료는 국민대학교 가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습니다.